현재 KBO 각 구단 현황과 나의 생각
현재 각 구단의 상황에 대한 나의 생각입니다. 여러분도 댓글로 동의하는지, 반대하는지, 또는 추가할 의견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한화 이글스
한화 투수진은 여전히 KBO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폰세, 와이스, 문동주는 지난 한 달간 모두 선발 투수 상위 5위 안에 들었고, 여전히 레전드 류현진도 보유하고 있죠. 류현진이 네 번째 선발일 정도면, 마운드는 완벽합니다. 타선은 다소 아쉬운 감이 있지만, 리베라토, 채은성, 노시환 같은 괜찮은 타자들도 있습니다. 만약 LG를 따돌리고 1위를 확정 짓는다면, 리그 최고의 투수진을 바탕으로 한국시리즈까지 무난하게 갈 수 있을 것입니다.
LG 트윈스
LG가 한화를 쉽게 도망가게 두지는 않을 겁니다. 시즌 초반 뜨거운 출발을 했던 LG는 중반 잠시 식었다가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문보경과 김현수가 이끄는 LG 타선은 리그 최강이며, 부상에서 돌아온 오스틴 딘도 공격에 힘을 보탤 예정입니다. 전체 타선에 약점이 없고, 투수진 역시 치리노스, 임찬규, 손주영, 송승기라는 안정적인 선발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리그 최고 불펜진까지 갖췄고, 외국인 투수 헤르난데스를 방출하고 안더스 톨허스트를 영입하는 승부수를 띄웠습니다. 이 영입이 우승을 위한 마지막 퍼즐이 될 수도 있습니다. 홍창기가 부상당하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강했을지 상상만 해도 무섭네요.
롯데 자이언츠
롯데는 시즌 내내 3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팀은 아니지만, 전민재, 윤동희, 황성빈 등 꾸준한 활약을 보여주는 선수들 덕분에 끈질긴 야구를 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타자 레예스는 높은 타율과 출루율로 기여하고 있고, 손호영이 타격감을 끌어올리면서 타선에 더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투수진에서는 감보아가 완벽한 영입이었고, 새 외국인 투수로 빈스 벨라스케스를 데려왔습니다. 다만, 이 영입을 위해 데이비슨과 결별해야 했습니다. 데이비슨은 10승 5패, 평균자책점 3.65로 좋은 성적이었기에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 선택이 신의 한 수가 될지, 실책이 될지는 두고 봐야겠죠. 다만 분명한 것은, 롯데가 지금 '우승을 노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SSG 랜더스
중위권 네 팀은 시즌 내내 비슷한 성적을 유지했지만, 현재 SSG가 그중 가장 앞서 있는 4위입니다. 부상에서 돌아온 헤레디아는 타격감을 유지하고 있고, 최정은 38세에도 여전히 홈런을 때리고 있으며, 한유섬도 최근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박성한은 리그 최고 수준의 출루율을 기록 중입니다. LG를 제외하면 어떤 팀과도 맞붙을 수 있는 탄탄한 타선을 갖췄습니다. 마운드는 지난 2년간 리그 정상급 활약을 보여준 앤더슨이 이끌고 있으며, 화이트도 좋은 활약을 했지만 지난주 라인드라이브에 맞아 건강이 변수입니다. 김광현도 최근 살아났고, 조병현과 이로운이 이끄는 불펜도 준수합니다. 그러나 선발진의 깊이가 부족해 포스트시즌을 끝까지 버티기엔 다소 아쉬울 수 있습니다.
KIA 타이거즈
KIA는 뭔가 분위기가 이상하지만, 8월까지는 플레이오프권에 머물고 있습니다. 김도영, 나성범, 김선빈 등 핵심 선수들이 시즌 내내 부상에 시달리며 팀은 좀처럼 분위기를 잡지 못했습니다. 이들이 모두 복귀했지만 시즌이 너무 많이 흘러 반등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선발진도 나일, 올러, 김도현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약한 편입니다.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더라도 길게 가지는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건강한 2026 시즌을 기대해야 할 것 같습니다.
KT 위즈
KT는 최근 몇 주까지는 꽤 괜찮은 상황이었지만, 최근 10경기에서 2승 7패 1무로 부진에 빠졌고, 그 경기력도 심각할 정도였습니다. 신인왕 유력 후보이자 MVP 후보인 안현민이 다소 주춤하고 있고, 부상에서 복귀한 강백호 외에는 타선에서 힘을 보태는 선수가 거의 없습니다. 급기야 외국인 타자 로하스를 방출하고 스티븐슨을 영입하며 타선 보강에 나섰습니다. 마운드는 여전히 강점입니다. 고영표는 리그를 지배하고 있고, 전역한 배제성도 좋은 모습을 보이며, 데헤수스도 무난한 활약 중입니다. 오랜 외국인 선수 쿠에바스를 내보내고 새로 영입한 패트릭은 16이닝 동안 단 2자책만을 허용했습니다. 투수력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은 가능할 수 있지만, 타선의 빈약함이 짧은 가을야구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NC 다이노스
NC는 어떻게든 시즌 내내 플레이오프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데이비슨의 부상과 손아섭의 트레이드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김주원, 박민우는 훌륭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으며, 김휘집은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데이비슨도 부상에서 복귀했고, 권희동도 꾸준한 출루로 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4팀 중에서는 타선이 가장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리, 로건 이후로는 제대로 된 선발투수가 없습니다. 100이닝 이상 던진 세 번째 선발이 없으며, 신민혁의 평균자책점은 4.57입니다. 사실상 2~3인 선발 로테이션과 불펜 데이 전략으로 남은 일정을 소화해야 합니다. 타선이 폭발한다면 와일드카드 진출 가능성은 있으며, 리리나 로건을 와일드카드에 세울 수 있다면 이변을 노려볼 수도 있습니다. 그 이상은 어려울 것입니다.
삼성 라이온즈
삼성은 최근 심각한 부진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10경기에서 3승 7패를 기록하며 8위까지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플레이오프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 원태인, 후라도, 가라비토, 최원태, 이승현까지 풍부한 선발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아즈, 구자욱, 김성윤, 강민호로 이어지는 강력한 타선도 갖췄습니다. 선발진은 완성형에 가깝고, 타선은 리그 2위 정도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팀이 8위에 있다는 건 어불성설입니다. 문제는 불펜입니다. 불펜은 말 그대로 '재앙' 수준입니다. 마무리 이호성은 9세이브, 평균자책 6.07이고, 또 다른 마무리 김재윤은 평균자책 6.14에 5세이브입니다. 이런 불펜은 본 적이 없습니다. 박진만 감독은 이제 고집을 버리고 다른 투수들에게 기회를 줘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선발 중 한 명을 불펜으로 돌리는 LG의 2024년 전략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고려할 만합니다.
두산 베어스
두산은 이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시즌이 사실상 종료된 팀입니다. 시즌 초반부터 흔들렸고, 그 흐름을 끝내 되돌리지 못했습니다. 이승엽 감독을 경질한 것은 올바른 결정이었지만, 후임 조성환 감독도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두 감독 모두 이해할 수 없는 의사결정을 반복하며 '야구를 이해는 하고 있는 건가?'라는 생각까지 들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들도 있습니다. 양의지는 여전히 프리미엄 포지션에서 리그 최정상급 활약을 하고 있고, 정수빈도 꾸준합니다. 이우찬은 주전 유격수로서 평균 이상 활약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명진과 박준순은 훌륭한 루키 시즌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들이 두산의 미래가 될 수 있습니다. 마운드 역시 희망이 보입니다. 곽빈은 부상 복귀 후에도 페이스를 유지 중이고, 최민석은 평균자책 2.61에 선발 9경기를 소화하며 뛰어난 신인 시즌을 보내고 있습니다. 최승용도 성장세가 뚜렷합니다. 불펜 또한 김택연, 박치국, 박신지, 이영하 등이 가세하며 나아지고 있습니다. 최원준도 불펜 전환 후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산 팬들이 기대할 수 있는 요소는 많지만, 그건 올해가 아니라 내년입니다. 적절한 감독을 선임한다면, 내년부터는 정말로 상위권 도약이 가능할 것입니다.
키움 히어로즈
이 구단은 말 그대로 '총체적 난국'입니다. 지금 분위기로는 외국인 선수 숫자가 시즌 승수보다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31승 71패로 리그 최하위에 머물러 있으며, 시즌 내내 이 순위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프런트는 도저히 시청할 수 없는 팀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유일한 희망은 송성문과의 6년 재계약이었지만, 그 직후 구단은 팀의 에이스 안우진을 불필요한 훈련 도중 다시 다치게 만들었습니다. 안우진은 기존 부상에서 회복 중이었고 2026 시즌 복귀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이 부상으로 인해 내년 시즌도 날릴 가능성이 큽니다. 팬들은 구단 보이콧을 예고하고 있으며, 전적으로 지지합니다. 구단과 프런트는 최소한 '프로팀'다운 전력을 갖춰야 합니다. 그것이 어렵다면, 구단을 매각하는 것이 옳습니다.